[스크랩] 걷기의 미학, ‘관동8경’ 발로 즈려밟기
걷기의 미학, ‘관동8경’ 발로 즈려밟기 | |||||||||||||||||||||||||||||||||
| |||||||||||||||||||||||||||||||||
[프라임경제] 대한민국 최고의 명산인 금강산 자락을 등에 업고 동해안이 눈앞에 펼쳐진 곳에서 일출을 만끽하고 싶다면 강원도 고성에 주목해보자. 송강 정철의 기행문인 ‘관동별곡’에 소개되는 관동8경에 속해있는 강원도 고성은 최근 '화진포 일출 걷기 축제'를 개최해 고성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걷기의 미학을 알려주고 있다. 최근 강원도 고성군이 1박2일로 '관동별곡 문화답사'코스와 '화진포 일출 걷기축제'를 주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야기가 있는 여행으로 세계인이 주목하는 관광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첫 발걸음. 강원도 고성군의 문화여행을 살펴보자. ◆관동8경의 테마, 스토리텔링 여행 강원도 고성은 금강사 아래 동해안 60km 해변에 보석처럼 흩어져 있는 일출 명소로 ‘관동별곡 답사 1번지’로 통한다. 관동별곡에 나오는 관동팔경은 송강 정철선생이 1585년(선조 18년)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해 가장 아름다운 절승지를 유람하며 풍월을 읊은 장소로 지금은 유명한 명소가 됐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된 청간정은 1980년 정자를 완전 해체 복원하여 명실공히 문화재로의 면모를 갖추었다. 청간정의 현판은 조선현종 때 우암송시열이 좌상으로 재직시 이곳에 들러 친필을 썼고, 그후 1953년 고 이승만 대통령이 친필로 쓴 현판이 있다. 청간정은 설악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청간천과 만경창파가 넘실거리는 기암절벽위에 팔작지붕의 중층누정으로 아담하게 세워져 있어 '관동별곡 문화답사' 코스의 처음을 장식하고 있다. 강원도 고성 청간정에서 출발, 양양 낙산사, 강릉 경포대, 삼척 죽서루, 경북울진 망양정까지 관동8경을 테마로 관광 상품화해 동해안 8백리 옛길을 역사와 문화의 스토리텔링(이야기가 있는 여행)화 한다는 것이다. 나머지 2곳인 삼일포와 총석정은 북한 지역에 있다. ◆고성 8경, 발로 즈려밟기 그 첫 번째 단계로 강원도 고성에서 출발하는 ‘화진포 일출걷기 여행축제’가 준비됐다.
“걷는다는 것은 세계를 온전하게 경험한다는 것이다” 다비드 르 브르통의 산문집 ‘걷기예찬’에 나와 있는 구절이다. 도보 여행이야말로 인생의 맛을 충만하게 느끼는 경험이며, 걷기는 인간이 비로소 시간을 지배하는 방법으로 시간과 인생의 진정한 주인이 되는 길, 걷기의 미학은 이렇게 통한다.
최근 걷기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지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일환으로 인정받고 있다. 유엔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받은 ‘세계 걷기의 해’가 2011년 선포 예정에 있으며 지난 2007년 12월 ‘세계 걷기의 날’을 11월 11일로 제정한 바 있다.
한국관광공사와 고성군이 주최하고 ‘세계걷기운동본부’가 후원, ‘세계걷기의날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화진포 일출 걷기축제’는 3월 28일을 시작으로 오는 10월까지 매월 넷째주 토·일요일에 ▲화진포, 건봉사, 송지호, 왕곡마을, 청간정 등 투어여행과 ▲웰빙콘서트 등 특별이벤트 ▲일출기운받기, 건강체조, 희망송부르기, 일출 해안도로 걷기(화진포~거진항) 등 일출걷기 행사를 펼친다. 자세한 행사일정을 보면 1박 2일 중 첫째날 오전 12시 30분 고성 도착을 시작으로 점심식사 및 청간정 관광→거진등대공원 걷기체험→저녁식사→종합체육관에서 화진포 일출걷기 성공기원 웰빙콘서트를 관람하고 첫째날 일정을 마친다. 둘째날 오전 6시 화진포 일출행사를 시작으로 화진포~해안도로~거진항 코스로 5㎞ 일출걷기→아침식사 및 항포구 관광→건봉사 관람→건봉다시마장 견학→송지호 철새 관망타워 관람 및 송지호 산책로 경유 왕곡마을 견학→점심식사 후 서울로 출발한다. 강원도 고성에는 이외에도 '고성8미'의 먹거리가 준비돼 있다. 자연산 물회, 명태지리국, 도치두루치기, 토종(흑)돼지, 털게찜, 고성막국수, 추어탕, 도루묵찌개가 계절별로 준비돼 있으며 '자연산' 해물만을 고집하는 것이 강원도 고성군만의 자랑이라고 한다.
참가방법은 인터넷 접수(www.8811.or.kr)를 실시하며 행사문의는 걷기운동사무국(02-3012-8811) 또는 고성군청(033-680- 3711)로 문의하면 된다. |